[경제학] 예시를 통해 기회비용의 기초 개념을 알아보자

folder 스터디 calendar_month web_traffic 0

막상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들도 헷갈리기 쉬운 기회비용의 개념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봅시다.

기회비용

모두가 개념적으로 알고 있는 기회비용의 기초적인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내가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선택지 중 가장 큰 (편익 – 비용)
  • 합리적인 소비자라면 기회비용이 가장 작은 선택을 해야 함

예시

선택지가 2개 일 때

만약 아래와 같은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.

선택 비용 편익
선택지(1) 1000원 1500원
선택지(2) 1000원 1700원

글로 풀어서 써보자면, 선택지 (1 )과 (2) 를 선택함에 있어서 둘 다 1000원의 비용이 들지만, (1) 은 1500원의 편익을 제공하고, (2) 는 1700원의 제공합니다.

합리적인 소비자라면 같은 비용을 내고도 더 큰 편익을 제공하는 (2) 를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.

실제로 이 둘의 기회비용을 계산해 보면,

  • 선택지(1)의 기회비용 = (2) 의 (편익 – 비용) = 1700 – 1000 = 700원
  • 선택지(2)의 기회비용 = (1) 의 (편익 – 비용) = 1500 – 1000 = 500원

따라서 우리는 기회 비용이 가장 작은 (2) 를 선택해야 하는 것입니다.

선택지가 3개 이상일 때

선택지가 3개 이상일 때 조금 헷갈리기 쉽습니다. 아래의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.

선택 비용 편익
선택지(1) 1000원 1500원
선택지(2) 1000원 1700원
선택지(3) 1000원 2000원

마찬가지로 각 선택지의 기회비용을 계산해보면,

  • 선택지 (1)의 기회비용 = (3)의 (편익 – 비용) = 2000 – 1000 = 1000원
  • 선택지 (2)의 기회비용 = (3)의 (편익 – 비용) = 2000 – 1000 = 1000원
  • 선택지 (3)의 기회비용 = (2)의 (편익 – 비용) = 1700 – 1000 = 700원

이렇게 계산되어 우리는 기회비용이 가장 작은 (3)을 선택해야 합니다.

위 내용에는 기회비용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 들어가 있는데, 그것은 기회비용을 산정할 때 내가 포기해야 하는 선택 중 가장 가치가 큰 것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선택지 (1)(2)의 기회비용은 모두 선택지 (3)을 포기함으로 써 발생하는 1000원이 된다는 것입니다.

이 내용을 일반화 하여 선택지가 여러가지인 상황에서 가장 큰 (편익 – 비용)을 주는 선택지가 (n) 일 때, 선택지 (n) 을 제외한 나머지 선택지들의 기회비용은 Benefit(n) – Cost(n) 으로 모두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주의사항

만약 기회비용과 관련된 어떤 문제에서 비용이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, 기회비용은 각 선택지의 편익만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끝.

댓글 남기기